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강철근2

보강철근 - 원형철근. 이형철근, 이형철근의 공칭지름 및 단면적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강철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강철근(Steel Reinforcement) 대부분의 구조 요소는 전단과 휨 모멘트로 인하여 상당한 인장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강철근으로 보강하지 않은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낮아서 취성(brittle) 거동하여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강도가 강하고 연성이 있는 철근을 콘크리트에 매립하면 철근이 콘크리트에 강하게 부착하여 인장에 저항하므로 강하고 연성(ductile)이 있는 복합구조재료가 되어 슬래브나 보 또는 기둥과 같은 여러 종류의 구조용 요소에 사용될 수 있다. 섬유 [강섬유(steel fiber), 탄소섬유(carbon-based, graphite), 유리섬유(glass-based)]나 플라스틱 섬유(plastic filaments).. 2023. 6. 14.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강철근의 역할 안녕하세요 오늘은 철근 콘크리트구조물과 보강철근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는 나무와 석재, 강재(steel) 그리고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를 들 수가 있으며, 근래에 와서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 재료도 사용되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는 서로 성질이 다른 두 재료 즉, 보강 강재(reinforcing bar)와 콘크리트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한 가지 재료만 사용하는 설계에 비해서 구조물의 설계를 지배하는 원리는 여러 방향에서 다르게 된다.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해서 건설되는 구조물에는 건축물, 교량, 육교, 옹벽, 터널, 댐, 수로, 탑 등의 다양한 구조물이 있다. 축 하중이나 휨 .. 2023.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