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피복두께2

철근콘크리트의 내구성(2) - 최소 피복두께, 노출등급 콘크리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철근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구성(Durability Considerations)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세계 각국의 시방서가 환경의 정도에 따라 요구하는 피복두께를 달리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닐 것이다. 일반적으로 혹독한 환경에서 피복두께를 증가하는 데는 대부분 일치하지만 실제로 얼마만큼 두껍게 피복을 해야 하느냐는 서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서 혹독한 환경에서 피복두께를 각종 시방서에서 적게는 20mm에서 많게는 60mm까지 규정하고 있어서 실제로 피복두께를 규정하는 것은 임의라 보고 볼 수도 있다. 구조기준 5.4(ACI 7.7)에서는 최소 피복두께(cover thickness)를 노출 조건에 따라,.. 2023. 6. 19.
콘크리트의 재료 - 골재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콘크리트 중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골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크리트 재료(Concrete Material) 골재 (Aggregate) 콘크리트에서 골재는 용적 비율로 60%~75%나 차지하여 종류나 성질에 따라 콘크리트의 품질을 크게 좌우한다. 골재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로 구성되어 있다. 1) 잔골재(Fine Aggregate)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이하, 시방서) 2장 1.5(64)에서 5mm 체를 기준으로 하여, 10mm 체(호칭 치수)를 전부 통과하고, 5mm 체를 거의 다 통과하며, 0.08mm 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또는 5mm 체를 통과하고 0.08mm 체에 남는 골재를 잔골재로 규정하고 있다. 잔골재에는 강이나 육지의 모래 또는 바닷모래.. 2023.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