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타/철근 콘크리트 공학29

겹침이음의 일반 규정과 인장 겹침이음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철근이음 중에서 겹침이음의 일반 규정과 인정겹침이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겹침이음(Lap Splice)의 일반 규정 (구조기준 8.6.1(2), ACI 12.14.2) (1) D35 초과하는 철근에 대한 겹침이음 금지 규정 : 직경이 굵은 D41이나 D51 철근에 대해서는 겹침이음에 대한 실험 연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아 이음의 거동을 잘 모르므로 구조기준에서는 D35 이하의 철근만 겹침이음을 허용하고 있다. 단, 현장 치기 시공에서 압축력만을 받는 기능과 기초판의 힘의 전달에서는 D35 이하의 다윌 철근과 D41과 D51 철근의 겹침이음을 허용하고 있다. [구조기준 12.4.2(2), ACI 15.8.2.3] 겹침이음은 응력이 낮은 부분에서 하고, 각각의 철근에.. 2023. 7. 1.
철근 이음의 종류 및 장단점 - 겹침이음, 맞댐용접, 기계적 연결장치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철근의 이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철근의 이음(Splices of Reinforcement) 공장에서 철근을 생산할 때 운반을 쉽게 하고 규격의 철근을 생산하기 위해서 제한된 길이의 철근을 생산하게 된다. [보통 6m~12m (표준 8m) 길이의 철근 생산] 이렇게 생산된 철근은 현장에서 설계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이어서 연결하여 연속철근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이음(splice)은 특히 기둥의 경우나 철근의 배근이 복잡한 곳에서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철근은 ① 겹침 이음(lap splice, 그림 6.39 참고)을 하거나, 또는 ② 맞댐 용접(butt welding)이나, ③ 기계적 연결장치(mechanical connector)를 이용하여 이어서 .. 2023. 6. 30.
깊은 보의 표피 철근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깊은 보의 표피철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깊은 보의 표피 철근 (Skin Reinforcement for Deep Beams) 실험 결과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깊은 보의 중간 높이에서의 최대 균열폭은 균열이 시작되는 인장 연단의 균열폭의 2배에서 3배까지 이르는 것으로 관측되었다([그림 1(a)]참고). 이런 균열은 보의 측면에서 보일 뿐만 아니라 보의 내부를 부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조기준 6.3.3(6)(ACI 10.6.7)에서는 복부의 깊이 h가 900mm를 초과하는 깊은 보인 경우엔 보의 측면에 발생하는 균열을 억제하고자 인장영역에 추가적인 종방향 표피 철근(longitudinal skin reinforcement)을 보의 양쪽 측면에 배치하도록 규정.. 2023. 6. 29.
순간처짐과 장기처짐의 계산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순간 처짐과 장기 처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간 탄성 처짐의 계산(Calculation of Immediate Elastic Deflection) 콘크리트 보에 하중이 작용하자마자 나타나는 처짐을 순간 처짐(immediate deflection)이라 한다. 하중이 보에서 제거되지 않고 지속 작용하게 되면 크리프와 건조 수축 때문에 추가적인 장기 처짐(sustained load deflection)이 나타나게 된다. 탄성 처짐은 등분포 하중 w(또는 집중하중 P), 경간 L, 단면 2차 모멘트 I 그리고 탄성계수 E의 함수로 처짐은 ∆= f(wL/EI)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즉시-탄성 처짐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그림 1]의 탄성-처짐 방정식.. 2023.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