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철근콘크리트6

철근콘크리트의 내구성(2) - 최소 피복두께, 노출등급 콘크리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철근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구성(Durability Considerations)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세계 각국의 시방서가 환경의 정도에 따라 요구하는 피복두께를 달리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닐 것이다. 일반적으로 혹독한 환경에서 피복두께를 증가하는 데는 대부분 일치하지만 실제로 얼마만큼 두껍게 피복을 해야 하느냐는 서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서 혹독한 환경에서 피복두께를 각종 시방서에서 적게는 20mm에서 많게는 60mm까지 규정하고 있어서 실제로 피복두께를 규정하는 것은 임의라 보고 볼 수도 있다. 구조기준 5.4(ACI 7.7)에서는 최소 피복두께(cover thickness)를 노출 조건에 따라,.. 2023. 6. 19.
콘크리트의 강도 (물-시멘트 비, 재령, 양생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에 대해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콘크리트의 강도(Strength of Concrete) 일반적으로 압축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을 대변한다. 강도는 여러 요소에 의해서 좌우되지만 가장 중요한 변수는 물-시멘트비와 양생 방법이다. 그 외에도 강도는 공기량(air entrainment), 시멘트 종류(cement type), 골재의 종류(aggregate), 혼합수(mixing water)와 혼화재(admixtures) 등에 따라 변한다. 이러한 재료적인 이유 외에도 시험 공시체의 형태나 하중을 작용시키는 조건 등에 따라서도 변한다. 1) 물-시멘트 비(Water/Cement Ratio) 물-시멘트 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 2023. 6. 12.
콘크리트의 재료 - 시멘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콘크리트의 재료인 시멘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크리트 재료(Concrete Materials) - 시멘트(Cement) 대부분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를 사용해서 생산된다. 물과 작용하여 강도를 갖기 때문에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라고 부르고, 포틀랜드라는 이름은 영국 남부의 Dorset에서 생산되는 포틀랜드 암과 색과 질이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역사적으로 석회석 시멘트는 오래전부터 사용됐으나 포틀랜드 시멘트의 생산은 1824년 영국의 벽돌공 Joseph Aspdin 특허를 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포틀랜드 시멘트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재료는 대략 전체 원재료의 78%의 석회석, 15%의 점토, 약 3%의 규.. 2023. 6. 9.
철근 콘크리트의 한계상태 안녕하세요. 오늘은 철근 콘크리트의 설계에 앞서 한계상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계상태와 철근콘크리트의 설계 (Limit States and the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한계상태(Limit State) 구조물이나 구조 요소(structural element)가 처음에 계획된 대로 구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할 때 우리는 한계상태(limit state)에 이르렀다고 말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한계상태는 아래와 같이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극한 한계상태 (Ultimate Limit State) 이 한계상태는 구조물의 일부 또는 전체가 붕괴(collapse)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한계상태로 인명을 잃거나 큰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극한한계.. 2023.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