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0

철근 균열제어의 규정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철근 균열제어 규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균열제어 규정(Provisions for Cracking Control) 균열폭을 제한하는 세 가지 주요한 이유는 외관(appearance), 누수(leakage) 및 부식(corrosion) 때문이다. 폭이 넓은 균열은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소유주와 거주자들의 걱정거리가 될 수 있다. CEB Manual에 의하면 눈에 띄기 쉽고,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운 면에서는 균열폭이 0.25mm~0.33mm 이상이 되면 사람들의 걱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표면이 거칠거나 해서 눈에 띄지 않으면 좀 더 넓은 균열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철근콘크리트 보는 휘면서 인장 측의 인장응력이 파괴계.. 2023. 6. 27.
균열의 종류(2) - 수화열 균열, 매스콘크리트 온도 조절 방법, 알칼리 골재 반응, 알칼리 실리카 반응, 균열 방지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콘크리트 균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균열이 발생하는 또 다른 이유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경화 시에 수화열(heat of hydration)을 발생시켜서 이 수화열 때문에 부재가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한다. 이렇게 팽창한 부재가 대기 온도로 냉각할 때 수축하며, 만약에 이 수축이 구속되어 있으면 수화열 균열(heat of hydration cracking)이 발생하게 된다. 가장 일반적인 수화열 균열은 이미 타설 되어 강성이 어느 정도 형성되고 수축이 진행된 기초 위에 벽체를 타설 시 발생할 수 있다. 벽체가 수화열을 방출하여 냉각할 때 발생하는 수축을 기초가 억제하면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그림 1). 이러한 수화열 균열은 ① 2종 중용열 포틀랜드.. 2023. 6. 26.
사용하중에서의 균열과 종류(1) - 인장 균열, 휨 균열, 전단 균열, 비틀림 균열, 부착 균열, 파열 균열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콘크리트의 균열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하중 하에서의 균열(Control of Cracking under Service Loads)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낮으므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설계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인장 저항력은 무시하며,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철근의 응력이 낮도록 설계한 구조물은 미세한 균열을 일으키더라도 요구되는 기능에는 이상이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중 전체가 작용하지도 않을뿐더러 콘크리트가 인장강도를 갖고 있으므로 식별할 수 있는 균열은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고강도 철근을 사용해서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큰 철근의 응력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변형률이 높아야 하므로 사용하중 하에서도 균열이 나타.. 2023. 6. 25.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해석(탄성)과 기본가정 안녕하세요. 윈트입니다. 오늘은 탄성개념에서 보의 휨 해석과 기본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도설계법에 따라 재료의 극한 거동에 대한 강도(strength)를 기준으로 단면을 해석하고 설계하였다. 실제 구조물에는 평상시에 계수하중(즉, 1.2D+1.6L 등)이 작용한다고 보기 어렵고, 사용하중(D+L, service load) 일부분이 작용할 것이다. 이런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균열이 일어난 보에서 압축영역의 응력분포는 선형에 가깝고 보강철근도 아직 탄성영역에 머물러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하중 하에서 콘크리트나 철근의 응력은 탄성해석으로 구해야 하며 응력의 분포를 선형으로 가정하므로 직선 이론해석(straight-line theory analysis) 또는 허용 응력해석법(working st.. 2023. 6. 24.
반응형